탄성력을 이용한 플라이오메트릭(Plyometric)
미국의 장거리 달리기 올림픽 국가대표였던 Fred Wilt는 시합 바로 직전 미국선수들은 트랙에서 스트레칭을 하지만 소련 선수들이 워밍업 운동으로 점핑을 하는 것을 보았다. 시합 결과는 소련 선수들의 절대적인 우세였고 Fred Wilt는 소련선수들의 우승의 원인이 경기 전 점핑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깊은 점핑 후 신장하는 힘줄, 근육에는 장력이 작용하고 그 힘은 저장되었다가 다음 동작에 탄성력의 형태로 발휘되면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힘을 발휘되는 것이었다.이후 스포츠선수들이 근육,힘줄,인대 등을 강화시키기 위해 점핑(Jumping)을 기본으로 하여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인간의 근육과 힘줄이 가진 자연적인 탄성을 이용하여 근육과 힘줄의 신전반사를 통해 근육이 순간적으로 낼 수 있는 폭발력을 극대화하는 훈련방법이다
점핑을 하기 전, 웅크리는 과정에서는 대퇴사두근이 늘어나면서 에너지를 저장하여 점프를 하는 순간 신전반사를 하면서 저장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탄성력과 근육의 개념을 적용하여 축경과 발경의 개념을 재구성하면 축경은 근육에 변형을 가해 탄성력을 만들어 저장하는 것이고 발경은 근육의 변형을 일으킨 힘을 제거하여 근육이 원래의 상태를 돌아가려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힘을 방출하는 것이다.
인체에서 용수철이나 활과 같은 탄성력을 낼 수 있는 부분은 근골격계이다. 근골격계를 구성하는 요소 중 근육, 힘줄, 인대, 근막 등은 인체 의 항상성 유지 및 보호를 위해 장력과 복원력(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그럼 인체의 근골격계가 활 줄을 당기는 외력(外力)에 해당하는 힘과 활대의 탄성력에 해당하는 힘을 만드는 기전, 즉 인체내에서 탄성력이 만들어지는 메카니즘을 알아보자.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